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해택 총정리

by 루ㅏ이터 2025. 4. 2.

    [ 목차 ]

 


대중교통 이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K-패스 신청 방법에서 부터 등록과 사용법까지 총정리 해봅니다!

 

K-패스란? 혜택 대상은?

K-패스는 2024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대중교통 요금 감면 서비스로,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되었어요.

 

K-패스를 이용하면 최소 20%에서 최대 53%까지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,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, 210개 시군구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.
혜택 대상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이고 만 19세 이상의 주민등록상 등록된 성인으로, 청년층(19~34세)은 30%, 저소득층은 53%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일반 성인은 20%의 교통비 감면을 받을 수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잦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서비스입니다.

 

혜택 대상:

일반인 20% 환급

청년층(19~34세) 30% 환급

저소득층 53% 환급

*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

* K-패스는 이용 금액 중 비싼 순서대로 60회를 할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

K-패스 절약 효과 예시 및 신청하기!

A씨는 매일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며 통학하는 직장인으로, 한 달 교통비가 10만 원 이상 드는데,  K-패스를 사용한 후 교통비가 눈에 띄게 줄었으며, 특히 작년 9월 한 달 동안만 3만 5000원 이상을 환급받았다고 합니다.

 

서비스가 시행된 2024년 5월부터 7개월 동안 받은 혜택을 계산해보니, 총 15만 원 이상의 교통비 감면을 받았다고 합니다. 2025년에는 1년 내내 K-패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, 예상 환급 금액이 약 30만 원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. 이처럼 K-패스를 사용하면 대중교통 이용량에 따라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,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과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.

 

 

 

신청방법 및 이용방법

 

>>> 11개 카드사 중 1개 카드사에서 발급 후 앱 혹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합니다.

 

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
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 K-패스로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

K-패스 카드 신규 가입

1. K-패스 카드발급 및 회원가입 (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.)

2. K-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

 

 

K 패스 신청하는 법 유투브 보기

 

 

 

 

K-패스를 꼭 이용해야 하는 사람

매일 출퇴근·통학하는 사람

 

광역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

광역버스 요금이 높은 만큼, K-패스 할인으로 더 큰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2,800원짜리 광역버스를 이용할 경우 청년층 기준으로 한 번 탈 때마다 84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기후동행카드 적용이 어려운 지역 거주자

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및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, 그 외 지역 거주자는 혜택을 받기 어렵운데,

K-패스는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,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다면 K-패스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K-패스 적립금 지급 일정

 

 

 

 

K-패스를 아직 신청하지 않은 사람이라면, 지금이라도 가입하여 매달 쌓이는 ‘티끌 모아 태산’ 효과를 직접 경험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.